DC 링컨 밀랍상 폭염으로 녹아내려

 북동부를 강타한 폭염으로 한 초등학교에 올초 설치된 제16대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의 조형물이 녹아내렸다. 

지난 24일 워싱턴DC에 있는 개리슨 초등학교 교정에는 지난 2월 의자에 걸터앉은 링컨의 모습을 묘사한 높이 약 1.8m의 밀랍 조형물이 설치됐다.

해당 조형물은 남북전쟁과 그 여파에 대한 관심을 높이려는 취지로 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섭씨 35도 안팎의 기온이 며칠째 이어지자, 조형물은 빠르게 제 모습을 잃어갔다. WP는 “24일 오전에는 급기야 머리가 사라지고 왼쪽 다리가 상체에서 분리됐다”고 전했다.

조형물을 제작한 예술가 샌디 윌리엄스 4세는 “주변 온도가 화씨 140도에 이르지 않는 한 조각상이 녹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조형물 설치를 지원한 현지 비영리 단체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밀랍 조형물의 형상이 변화하는 것을 의도했지만, 이처럼 급격한 변화는 예상치 못했다”면서 “이건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북동부와 중서부 지역은 열돔 현상으로 인해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는 중이다. 미 기상청(NWS)은 미국 전역에서 약 1500만명이 폭염 경보, 9000만명이 폭염 주의보의 영향권에 놓였다고 밝혔다. 온열질환 환자도 많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워싱턴DC를 포함한 미 북동부 지역은 위도가 비교적 높고 녹지 비중이 커 다른 지역에 비해서는 극심한 더위를 덜 겪었다. 올해는 기온이 치솟으면서 지역 주민들이 고충을 겪고 있다. 뉴햄프셔주 맨체스터 등 미 동북부 일부에선 기온이 예년 이맘때보다 섭씨 기준 15도가량 올랐다. 

이번 폭염은 온실가스 배출 증가로 인한 지구 온난화와 연관성이 매우 깊은 것으로 분석된다.

Previous article대법원, 종교 웹캐스터 과중 수수료 중단 요청 기각
Next article한국 전 세계 최초 ‘유튜브 쇼핑 전용 스토어’ 개설 “플랫폼 과제는 차별화·고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