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포니아 농촌 지역, 소수민족 대상 증오범죄 신고율 여전히 낮아… 주정부, 적극적인 신고 촉구

캘리포니아주에서 소수민족을 대상으로 한 증오범죄가 여전히 심각한 문제로 남아있는 가운데, 특히 농촌 지역에서는 신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주정부는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인 신고와 커뮤니티의 협력을 강조하며, 주정주 핫라인 이용을 당부하고 있다.

지난 1월 17일, 에스닉 미디어 서비스(EMS)가 주최한 온라인 미디어 브리핑에서 캘리포니아주 민권부(Kevin Kish) 디렉터는 “캘리포니아 전역에서 증오범죄가 지속되고 있지만, 특히 농촌 지역과 외곽 지역에서는 신고율이 현저히 낮다*며 지역사회의 관심과 협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캘리포니아주는 2023년 5월, 증오범죄 문제 해결을 위해 ‘캘리포니아 대 증오(CA vs Hate)’ 이니셔티브를 출범하고, 다국어 지원 핫라인을 통해 피해자 지원 및 사건 접수를 강화해 왔다.

그러나 최근 통계에 따르면 2019년 이후 보고된 증오범죄는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1,015건, 2022년: 2,120건, 2023년: 1,970건으로 다소 감소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조사됐다. 특히 폭력 사건 등 인신에 대한 범죄는 2022년 1,467건에서 2023년 1,288건으로 줄어든 반면, 기물 파손 등의 사회범죄는 653건에서 682건으로 증가했다.

샌디 클로즈 에스닉 미디어 서비스(EMS) 디렉터는 “다양성으로 유명한 캘리포니아에서도 여전히 심각한 인종차별과 증오범죄가 발생하고 있다”며, “그러나 백인이 다수를 차지하는 농촌 지역에서는 소수민족에 대한 차별과 증오범죄가 보이지 않는 문제로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많은 농촌 지역에서는 피해자들이 이민 신분 문제나 보복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신고를 주저하는 경우가 많다”고 덧붙였다.

이번 브리핑에서는 몽족, 아메리카 원주민, 흑인, 라티노 등 다양한 소수민족 커뮤니티를 대표하는 연사들이 참석해, 증오와 차별이 일부 커뮤니티에서 일상화된 현실에 대해 증언했다. 이들은 “비영리 단체와 지역 언론의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신고에 나서고, 커뮤니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페리얼 밸리 사회정의 위원회(Imperial Valley Social Justice Committee) 말린 토마스(Malin Thomas) 디렉터는 “증오범죄를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내 신뢰할 수 있는 중개자와 단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주민들이 정부 지원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수적”이라며, 증오범죄 대응을 위한 지역 네트워크 구축 필요성을 역설했다.

‘캘리포니아 대 증오’ 핫라인, 피해자 보호 강화

캘리포니아 민권부 케빈 키시(Kevin Kish) 디렉터는 “캘리포니아 대 증오 핫라인(CA vs Hate Hotline) 이니셔티브는 단순히 증오범죄를 신고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피해자들이 필요한 자원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핫라인은 200개 이상의 언어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법률 상담, 정신 건강 지원, 재정 지원 등 피해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캘리포니아주 정부는 더 많은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증오범죄를 신고하고, 지역 사회와 협력하여 안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핫라인 이용을 당부하고 있다. 특히, 체류 신분에 대한 불안감이 있는 피해자들을 위해 익명 신고 기능을 보장하고 있어, 이민자 커뮤니티에서도 안심하고 신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증오범죄 핫라인 신고 전화번호는 833-866-4281 또는 833-8-NO-HATE, 온라인 신고는 cavshate.org로 연락하면 된다.

이번 브리핑을 통해 전문가들은 “증오범죄 예방과 대응을 위해 정부와 지역사회, 그리고 언론의 협력이 필수적”이라며, “피해자들이 두려움 없이 신고하고,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레이스 김

Previous article전직 목사, 허리케인 구호 기금 유용 혐의로 체포
Next article트럼프 취임식 기도 목사, 논란의 중심 “암호화폐 밈 코인 구매 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