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가톨릭 주교회의, 난민 재정착 프로그램 연방 계약 종료 발표

“정부 지원 중단으로 독자적 운영 불가능… 새로운 지원 방안 모색”

미국 가톨릭 주교회의(USCCB)가 연방정부와의 난민 재정착 및 아동 복지 관련 협력 계약을 갱신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예산 삭감과 행정 명령에 따른 난민 프로그램 중단 조치 이후 내려진 결정이다.

티모시 브롤리오 대주교는 4월 8일 발표한 성명에서 “이번 결정은 매우 고통스럽지만, 정부가 우리의 협력 계약을 중단함에 따라 불가피하게 내린 결정”이라며, “폭력과 박해를 피해 피난처를 찾는 이들을 위한 사명을 지속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브롤리오 대주교는 수십 년간 이어져 온 정부와의 파트너십이 끝나는 것에 대해 “생명을 살리는 협력 관계의 아픈 종결”이라고 표현하며, “모든 가톨릭 신자들에게 우리의 마음을 다시 들여다보고 새로운 방식으로 어려운 이웃을 돕기 위한 기회를 삼자”고 제안했다.

USCCB는 난민 재정착 프로그램에 50년 이상 협력해왔으며, 정부 보조 없이 현재 수준의 프로그램을 유지하기는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미 수용된 난민들을 위한 대체 지원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번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직후 난민 수용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미국국제개발처(USAID) 인력을 대폭 축소하는 등 외교 및 인도주의 지원을 축소하면서 시작됐다. 국무부는 지난 2월 USCCB에 보낸 공식 서한을 통해 “해당 계약은 더 이상 기관의 우선순위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통보했다.

종교자유위원회(USCIRF)의 스티븐 슈넥 위원장은 이러한 정책 변화가 국제 종교 자유에도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그는 특히 “종교 박해를 피해 도망친 난민들의 수용 중단”을 그 대표적인 예로 들었다.

브롤리오 대주교는 “우리는 인신매매 피해자들과 고통받는 남녀노소를 위한 정책 개혁을 계속해서 촉구할 것”이라며, “복음을 따라 가장 어려운 이웃에게 희망을 주는 방법을 함께 기도하며 찾아가자”고 강조했다.

FAITH4

Previous article존 파이퍼 목사, 조던 피터슨의 “행복 아닌 의미” 주장에 반박
Next article미국 TEDS 신학교, 캐나다 TWU와 합병… 2026년부터 본격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