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과 쌀 병에 담아 북한으로” 미국인 6명 구속에 기독교계 긴장

최근 한국에서 기독교 선교를 목적으로 북한으로 성경과 쌀을 보내려던 미국인 6명이 경찰에 의해 구속되면서 국내외 기독교계가 긴장 속에 이 사건을 주시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 6월 말, 인천 강화도 인근 해안에서 페트병 안에 소형 성경, 쌀, USB 저장장치, 미국 달러 등을 담아 바다에 띄운 혐의를 받고 있다.

한국 경찰은 개인정보 보호와 사건 조사에 대한 예민성을 고려해 구속된 미국인들의 얼굴이나 신상 정보를 언론에 공개하지 않았다. 경찰은 이 행위를 ‘재난 및 안전관리법’ 위반으로 판단하고 관련자들을 구속 조사하고 있으며, 미국 국적자의 경우 외교적 대응까지 염두에 두고 상황을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페트병 안에 소형 성경, 쌀, USB 저장장치, 미국 달러 등을 담고 있는 선교사들

이번 사건은 한국 내 보수 성향 기독교 단체들이 꾸준히 시도해온 ‘북한 성경 보내기’ 선교 방식과 연관이 있다. 특히 풍선이나 병, 드론 등을 이용해 북한으로 성경과 복음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시도는 과거에도 여러 차례 있었으며, 대표적으로 미국 국적 선교사 에릭 포일리 목사는 2020년에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성경을 북한으로 보냈다가 한국 정부로부터 기소당한 바 있다. 그는 당시 처벌은 면했지만 이후 활동은 제약을 받았으며, 이번 사건에 대해서도 “지하 교회 성도들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한 행동이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러한 선교 방식은 북한 내부의 종교 탄압 현실을 감안할 때 현지 주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북한은 전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기독교 박해 국가로 꼽히며, 성경 소지 자체가 처벌의 대상이 될 뿐 아니라 심할 경우 정치범 수용소 수감이나 사형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일부 인권단체와 전문가들은 이 같은 방식의 선교가 오히려 북한 주민에게 해가 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한편 미국 국적자들이 연루된 만큼, 주한 미국대사관과 한국 외교부도 관련 사실을 파악하고 예의주시 중이며, 필요시 미국 정부와 협의를 통해 외교적 대응에 나설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한국 내 일부 기독교 단체들은 법률 지원과 공공 여론 형성을 통해 이번 사건이 선교의 자유를 침해하는 선례가 되지 않도록 목소리를 내고 있다.

김미아 기자

Previous article존 맥아더 목사에 대한 회고: 미국 복음주의 강단의 거장이 남긴 유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