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백신 설문조사’ 사기 조심-판데믹 맞아 갖가지 코로나 사기 유행, 이민자, 저소득층 피해 속출

코로나 시대를 맞아 사기꾼들이 다양한 수법을 동원해 저소득층과 이민자들을 노리고 있어 주의가 요망된다.

연방공정거래위원회(FTC) 몬타나 지부는 지난 3월 24일 에스닉 미디어 서비스(EMS)와 인터넷 기자회견을 가졌다. FTC는 “사기꾼들은 최신 뉴스 화제거리를 소재로 사기를 저지른다”며 “최근에는 코로나19를 소재로 한 사기가 유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척 하우드 FTC 북서부 지역 오피스 국장은 “현재까지 코로나19 및 경기부양 수표 사기 신고가 40만건 이상 접수됐다”며 “사기 사례 중 3분의 2는 개인정보 유출이며, 소비자 피해액은 3억8000만달러에 달한다”고 말했다. 또한 코로나19 지원금을 명목으로 수수료를 요구하는 사기도 유행하며, 사기당한 사람에게 또 사기를 치는 사례도 나오고 있다.

최근 유행하는 코로나 관련 사기는 백신 설문조사 사기다. 하우드 국장은 “예를 들어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에 대한 설문조사에 응하면 선물을 준다는 이메일이나 문자메시지가 유행하고 있다”며 “이들은 상품을 받으려면 개인정보가 필요하다며 피해자들의 은행계좌나 크레딧 카드 정보를 빼간다”고 소개했다. 그는 또 “백신 관련 설문조사 및 무료 상품 증정 이메일이나 문자메시지를 받으면 사기이므로 조심해야 한다”며 “진짜 설문조사기관은 상품 증정을 이유로 크레딧카드 번호나 은행계좌번호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판데믹으로 인해 발생한 주택 난민들을 노리는 사기도 유행중이다. 네이버워크 몬타나의 한나 테스터 주택네트워크 매니저는 “코로나 판데믹으로 인해 주택시장에는 도심 난민이라는 새로운 계층이 생겼다”며 “특히 코로나로 인해 모기지나 렌트비를 감당못해 렌트비가 싼 시골 지역을
찾는 사람들이 사기꾼의 표적이 된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사기꾼들은 크레이그리스트 등 인터넷 장터란에 집주인을 가장해서 주택을 싼값에 임대한다고 광고하고, 세입자에게 2개월치 시큐리티 디파짓을 받아낸다. 세입자들은 나중에 그런 주택이 존재하지도 않는다는 사실을 알고 당황하는
것이다.

또한 최근 유행하는 코로나19 사기는 품질이 떨어지는 가짜 개인보호장비(PPE) 사기, 코로나로 실직한 실업자를 위한 사기성 직업훈련으로 위장한 후 돈을 요구하는 사기 등이 있다.

몬타나 법률서비스협회의 베스 헤이즈 소비자보호 담당 변호사는 “이미 가난의 위기에 처한 사람들일수록 사기의 표적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가정폭력 피해자, 노인, 퇴역군인, 아메리카 원주민, 장애인, 영어를 잘 못하는 사람들이 사기 피해자가 되고 있다”며 “사기꾼들은 특히 이들이 경기부양 수표 등 지원금을 받을 때를 노려서 사기를 친다”고 말했다.

사기전화 때문에 목숨을 잃는 극단적 상황도 발생하고 있다. 지난 2월 몬태나주 빌링스에 거주하는 한 할머니는 손자를 자처하는 사람이 걸어온 전화를 받았다. 전화에 따르면 노부부의 손자가 현재 구치소에 갖혀있으며, 부모에게 들키지 않고 구치소에서 석방되려면 보석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몬태나는 2월에 닥쳐온 눈폭풍 때문에 날씨가 매주 좋지 않았지만,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보석금에 쓸 돈을 인출하기 위해 은행으로 차를 몰았다. 그러나 노부부는 가파른 언덕에서 자동차 통제력을 잃고 길에서 미끄러졌고, 커브를 들이받은 후 우편함과 주차된 자동차 몇대를 다시 들이받았다. 이 사고로 할아버지는 사망하고 할머니는 큰 부상을 입었다.

전문가들은 사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소비자 교육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몬타나주 소비자보호부의 척 문순 변호사는 한 미망인이 온라인 데이트 사이트에서 성공한 건설사업자를

가장한 사기꾼에게 당한 사례를 소개했다. 그는 “사기꾼이 면허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미망인에게 계속 돈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결국 미망인의 은행측에서 요구 액수가 많아지자 수상하게 여기고 지역 노인보호 서비스 사무실에 신고했고, 사무실은 주정부 소비자보호부에 신고했다. 그는 “조사 결과 그 남자는 사기꾼임이 확인됐고 은행에 연락해 계좌거래를 중단시켰다”며 “미망인은 충격을 받았지만, 한편으로 사기 수법에 대해 배울수 있게 돼 감사하다고 밝혔다”고 말했다.

2019년은 6100건의 사기전화가 신고돼 주 소비자보호부 역사상 가장 바쁜 한해였다고 문순 변호사는 밝혔다. 그는 “비록 2020년에는 사기전화 신고건수가 줄어들았다지만, 그래도 작년은 주 역사상 3번째로 바쁜 해였다”고 말했다.

FTC 소비자 비즈니스 교육부의 앤드류 존슨 부장은 소비자들이 어려운 상황에 처할수록 사기에 더 많이 노출되고, FTC에 신고하는 것을 꺼릴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한다고 밝혔다. 존슨 부장은 “하지만 사기 사례를 접할 때마다 FTC에 신고해야 한다”며 “사기 사례가 접수돼야 새로운 사기
수법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대비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사기사례 신고는 www.ftc.gov 로 하면 된다.

Previous articleLA카운티, 주택소유주 지원 나섰다. 코로나19 주거안정 프로그램, 최대 2만달러 지원
Next article폴 맥스웰 작가 “나는 더 이상 기독교인 아니다” 선언